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100분 토론]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와 ‘방송 정상화’ 논란

TV 방송 포토 뉴스

by 동네기자 안인철 2023. 8. 8. 20:43

본문

728x90
반응형

 

지난달 28일, 윤석열 대통령이 방송통신위원장 자리에 이동관 대통령실 대외협력특보를 지명했다. ‘이동관 방통위원장 내정설’이 나온 지 두 달여 만이다. 야당과 대다수 언론 단체를 중심으론 이 후보자에 대한 지명 철회를 요구하는 등 반발이 거세지고 있는 상황이다. 이런 거센 반대에도 대통령실이 이동관 후보자에 대한 임명 강행을 시도하는 이유는 무엇일까. 

현직 기자 80%, 이동관 방통위원장 임명 반대 그 의미는?

이동관 방송통신위원장 지명을 두고 언론계의 반대가 거세다. 관련 단체들은 기자회견을 열고 비판 성명을 내는 등 지명 철회를 촉구하고 있는데, 실제로 지난 6월, 한국기자협회가 현직 기자들을 대상으로 한 조사에서 응답자의 80%가 이동관 방통위원장 임명을 반대한다고 나타났다. 그 중 ‘MB 정권 시절 방송장악 이력’으로 인해 반대한다는 응답은 80.3%였는데, 현업 언론인들의 이런 반대의 의미는 어떻게 해석할 수 있을까.

이동관 후보자, 방통위원장 적합한가?

이동관 방통위원장 후보자는 1일 “언론은 장악될 수도 (없고) 또 장악해서도 안 되는 영역이다. 다만 자유에는 반드시 책임이 뒤따라야 한다”고 말했다. 그러면서 이른바 ‘공산당 기관지’는 언론이라 할 수 없다는 취지의 발언을 했는데, 야권에선 언론 장악 의도를 노골적으로 드러낸 것이라며 비판하는 한편 여권에선 원론적인 이야기라며 선을 그었다.  

이 후보자의 이력 역시 지적된다. 이 후보자는 동아일보 기자 출신으로 이명박 정부에서 대변인, 홍보수석, 언론특보를 지냈다. 지난 대선에선 윤석열 대통령 후보 선대위 특별위원장을 맡았고, 대통령직인수위 특별고문과 최근엔 대통령 특별보좌관까지 지냈는데, 독립성을 보장받아야 할 방송통신위원회 수장으로 적합하지 않다는 비판이 나오는 배경이다. 이 후보자의 발언과 과거 이력들에 이르기까지. 방통위원장에 적합하다고 볼 수 있을까.

대통령과 언론의 자유

윤 대통령은 지난해 4월, 신문의날 행사에서 ‘언론의 자유는 우리 사회를 더 나은 방향으로 변화시키는 큰 원동력’이라며 권력이 부패하지 않도록 언론이 감시해야 한다는 생각을 밝혔다. 이와 같이 윤 대통령은 언론의 자유를 굉장히 강조해왔다. 하지만 특정 언론사에 대한 전용기 탑승 배제를 비롯해, 최근엔 수신료 분리징수안 통과와 이동관 방통위원장 지명까지. 과연 윤 대통령의 언론관은 무엇일까.

이번 MBC [100분 토론] <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와 ‘방송 정상화’ 논란>에선 국민의힘 홍석준 의원,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의원, 그리고 김종혁 국민의힘 고양시병 당협위원장과 신경민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함께 출연할 예정이다. 이번 MBC [100분 토론]은 오늘(8일) 밤 11시 20분에 방송된다.

728x90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